전체 글 (58) 썸네일형 리스트형 설사하면 다 콜레라? 증상과 예방수칙 여름철 설사를 하면 콜레라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콜레라는 독소형 콜레라균 감염에 의한 급성 설사 질환입니다. 콜레라는 수인성 전염병으로 한국에서는 괴질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아프리카 등 적도지방에서 흔하게 감염되는데, 더운 여름 세균의 번식이 활발한 우리나라에서도 콜레라에서 안전할 수는 없습니다. 콜레라의 증상과 예방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콜레라에 걸리는 이유? 콜레라균은 날 것이나 덜 익은 해산물 음식을 먹으면 감염될 수 있고, 오염된 손으로 음식을 조리하거나 섭취할 때도 콜레라에 걸릴 수 있습니다. 콜레라 증상? 잠복 기간은 5일 이내로 보통 2일에서 3일 정도이며, 빠르면 몇 시간 내에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잠복기가 지난 후부터 극심한 설사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 여름휴가 동남아여행 안전수칙, 해외에서 빠르게 입국하기 여름휴가철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여행지로 많이 가는 동남아에 위치한 나라들을 여행할 때 지켜야 할 수칙이 있습니다. 동남아여행 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놀이 주의! 물속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준비운동을 해야 합니다. 식사를 한 후는 바로 물에 들어가지 말고 소화시키는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물살이나 파도를 확인한 후 입수를 해야 하며, 수영금지 지역에서는 물놀이를 해서는 안됩니다. 모기 주의! 모기가 매개가 되어 감염시키는 병이 뎅기열, 말라리아, 지카바이러스, 황열, 일본뇌염 등이 있는데, 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 국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대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여행 중에 필.. 해외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에 걸리면 국내 자체 발생이 아니라 해외에서 모기에 물려서 감염이 된 채로 국내로 유입되는 감염병을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이라고 합니다. 해외유입모기매개감염병'으로 황열, 말라리아, 뎅기열, 치쿤구니, 웨스트나일열, 지카바이러스염증 등이 있습니다. 이 중 말라리아의 경우는 국내와 국외에서 모두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외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은 어떻게 전파하나요? 주로 환자를 흡혈한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면서 전파됩니다. 사람 간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아주 드물게 수혈이나 장기이식 등으로 인한 혈액전파나 지카바이러스감염증의 경우는 성접촉으로도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외유입 모기 매개 감염 증상은 어떤가요? 감염병마다 증상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주로 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폭염 온열질환 증상 예방수칙 장마가 끝나자 폭염으로 인해 전국에 폭염경보가 발령되고 밤이 되어도 더위가 식지 않는 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루 87명이 응급실에 실려갈 정도로 온열질환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내가 느끼는 증상이 온열질환인지 알아보고 예방수칙도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온열질환은 무엇인가요?온열질환은 '열로 인해서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동안 노출 되었을 경우 두통이나 어지럼증, 근육경령,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있습니다. 온열질환의 종류?온열 질환 중의 하나인 열사병은 40도 이상의 고열이 나고 중추신경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여 의식장애나, 혼수상태까지 빠질 수 있습니다. 열탈진과 일사병은 37도에서 40도 정도의 열이 나고 땀을 많..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