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먹어도 살 안 찌는 약 개발 중 임상 2상 진행

먹어도 살 안 찌는 약이 임상 2상을 진행 중입니다. 살찌는 음식을 많이 먹어도 먹은 것에 비해 살이 안 찌는 사람이 있고, 같이 먹어도 살이 많이 불어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먹어도 살 안 찌는 약이 언제 나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마오비 효소 억제제"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마오비 효소 억제제"

 

먹어도 살 안 찌는 약

제충 조절, 다이어트약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지만 약에 대한 부작용이나 요요를 경험하면서 그 효과는 일시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말 먹어도 살 안 찌는 약이 있을 수 있을까요? 국내 연구진이 먹어도 살 안 찌는 약을 개발 연구 중에 있습니다. 

 

 

비밀은 뇌에 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신약을 하루 한 번 실험 쥐에게 투여했습니다.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경과를 살펴보니, 같은 사료를 먹은 다른 쥐는 일반 생쥐보다 몸이 크게 살이 쪘습니다. 신약을 투여한 시험 쥐는 살찐 쥐 무게의 절반 정도로 가볍습니다. 일반 식이를 한 생쥐와 무게가 비슷합니다. 

 

연구진이 마오비 효소 억제제인 'KDS2010'을 투여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가브라5'

뇌  측면 시상하부에 신경세포 군집인 '가브라5'는 몸 전체의 지방 세포와 연결되어 있어 이 부분이 활성화가 되면 비만이 억제가 되고, 활동이 약해지면 비만이 생긴다는 것을 알아내었습니다.

 

연구진은 그 부분을 공략하여 마오비 효소 억제제 'KDS2010'을 개발했습니다. 이 약을 투여하면 '가브라5'가 활성화되어 비만이 억제되었습니다. 기전을 살펴보면 마오비 효소가 신경물질 가바를 합성해서, '가브라5'가  활성화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마오비 효소 억제제  'KDS2010'

국내 연구진은  이 마오비 효소 억제제 'KDS2010'을 치매 치료제로 개발한 물질인데 경구투여가 가능하고, 부작용도 적고, 요요도거의 없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 권위지 네이처 메타볼리즘에 실렸으며,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부작용 여부를 살펴보는 임상 1상이 진행 중입니다. 내년 초부터는 사람에게서 감량 효과가 나타나는지 보기 위한 임상 2상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마무리

임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비만에서 오는 여러 성인 질환과 질병들로부터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더불어 약에 대한 비용 등에 대한 접근성도 까다롭지 않기를 바라봅니다.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비밀은 뇌에 있다.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비밀은 뇌에 있다.